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범석 차장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어제 밤 한국을 찾은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(IAEA) 사무총장이 조금 전까지 우리 정부 관계자를 만났죠. 누구를 어디서 만났는지 그 소식부터 간단히 전해주시죠. <br><br>네, 오늘 그로시 사무총장은 공식 일정 모두 비공개로 진행 중인데요, <br> <br>한 마디로 '보이지 않는 행보'인데요, <br> <br>오후 4시부터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을 서울 정부 종합청사에서 만나 30분 간 회담을 나눴고, 직후에는 박진 외교부장관과도 30분 정도 회담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현재는 외교부장관 주최 만찬이 서울 광화문 포시즌호텔에서 열리고 있습니다.<br><br>Q2. 정부 관계자와의 비공개 회담에선 무슨 이야기가 오갔나요? <br> <br>그로시 사무총장은 일본의 방류 계획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다는 IAEA 최종 보고서 내용을 한 번 더 우리 측에 설명했고, 유 위원장과 박 장관 등 우리 정부 인사들은 지속적인 검증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우리 측 입장을 건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 우리 정부 인사들은 실제 오염수 방류가 시작 되어도 거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방류가 기준에 맞춰 잘 방류하는지, 지속적인 검증과 모니터링을 요청한 것인데요, <br> <br> 특히 IAEA의 지속 검증을 위해 우리 전문가들의 참여 필요성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런 내용들은 어제 우리 정부의 자체 검증 보고서에도 제안 및 권고 사항으로 포함돼 있습니다. <br><br>Q3. 그렇군요. 그로시 사무총장의 방한 목적이 궁금해지는데요. <br> <br>그로시 사무총장의 방한은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만인데요, <br> <br>한 외교 소식통은 이번 방한 이야기의 시작이 2달 전 한덕수 국무총리의 유럽 순방 때라고 합니다. <br> <br>당시 한 총리는 오스트리아 빈 국제센터에서 그로시 사무총장을 만나 편한 시간에 한국을 방문해달라며 의례적으로 말을 건넸는데, 이후 IAEA 측에서 일본 방문과 동시에 우리나라 등 이해 관계국에 IAEA의 평가 결과를 공유하고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우리 정부에 방한 계획을 밝혔다고 합니다. <br> <br> 그로시 사무총장은 내일까지 우리나라에 있고 이후 뉴질랜드와 태평양 도서국 등을 차례로 방문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다만, 한 정부 관계자는 방한 일정이 매우 급하게 정해지다보니 일정 조율에 애를 먹었다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4. 급하게 정해져서 그런가요? 방한을 했는데 얼굴을 볼 수가 없습니다. 일본에서는 기시다 총리도 만나고 후쿠시마 현장도 가고 광폭 행보를 했는데요. <br> <br>그로시 사무총장은 오늘 청사 방문 때도 기자들의 질문에 묵묵무답이었습니다. <br> <br>정부도 회담을 모두 비공개로 했고, 당초 예정 됐던 기자회견도 취소가 됐고요. <br> <br>일본 내 행보와는 다른 상황입니다. <br> <br>[라파엘 그로시 / IAEA 사무총장 (어제 일본)] <br>"한국은 일본의 인접국이기 때문에 걱정이 많다는 것을 잘 압니다. 한국 정부 관계자, (요청이 온) 야당 의원들도 만날 의향이 있습니다." <br> <br>이에 대해 우리 정부와 IAEA 측 모두 조심스럽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자칫 우리 정부가 IAEA 편에 서서 IAEA를 홍보하는 것처럼 비춰질 것이 우려된다고 했는데요, <br> <br>아직 오염수 방류 자체 찬반 입장은 내놓지 않은 정부로서는 오염수 방류 반대 여론이나 시위 등도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. <br> <br> IAEA 측도 오염수 방류에 대한 한국 내 정치 과열 상황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정용훈 /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] <br>"정확한 정보 전달이라든지 의견 청취라든지, 이런 걸 하면서 불필요한 논란은 더 이상 만들지 않기 위한 것 아닌가 싶습니다." <br> <br>Q5. 어제 김포 공항 입국 상황도 매우 혼란스러웠죠. <br> <br>입국부터 '험난' 그 자체였습니다.<br> <br>그로시 사무총장은 어제 밤 10시 50분 쯤 김포 공항에 도착했는데, 수십 명의 시위대가 오염수 방류 반대, 그로시 사무총장 입국 반대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격렬히 항의 시위를 벌였습니다. <br> <br> 결국 그로시 사무총장은 비행기 도착 후 2시간 지난 새벽 1시 쯤 공항을 겨우 빠져나갈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지금도 그로시 사무총장의 숙소와 정부 청사, 광화문 광장에서도 잇달아 반대 시위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><br>Q6. 여야 공방도 거세지고 있죠. <br> <br> 네, 오늘 국민의 힘 윤희석 대변인은 그로시 사무총장의 입국 소동과 관련해 "국제적 망신이고, 더불어민주당의 거짓 괴담 선동으로 빚어진 참사"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 더불어민주당도 논평을 내고 "IAEA 사무총장이 핵 폐수 방류 홍보대사를 자처하고 있다. IAEA의 공정성과 중립성이 의심된다"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특히 내일 그로시 사무총장이 야당 의원들과의 면담이 예정 돼 있는데요, 대책위원회의 한 의원은 "얼굴 붉히고 싸우는 자리 아니겠냐"며 공개적으로 그로시 사무총장과 논쟁을 벌이겠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.